top of page

2023년 알트코인 급등에 대한 의견

2022년 한해 전세계 암호화폐 시장의 추락은 꽤나 심각했었다. 지난 5월 테라·루나 사태에 이어 세계 2위거래소이자 미국의 대표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파산, 최근 국내 위믹스의 시장 퇴출 그리고 디파이에 대한 불신 등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문제가 연달아 터진 한해이지 않았나 싶다. 문제는 여전히 이런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루나와 FTX 퇴출이후 시장에서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가 크게 흔들렸는데 이로 인해 기관의 투자가 보류 혹은 철회되며 시장이 크게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그런 와중에서도 일부 미디어와 인플루언서들이 알트코인을 추천 혹은 소개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꽤나 위험한 투자가 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관련해서 기사하나 공유해보겠다.


위의 기사는 해외 미디어 코인게이프에서 소개한 기사내용으로 올해 급등 가능한 코인으로 BNB, XRP, ADA코인을 선정했다. 사실 기사에서 언급한 코인은 사실 꽤나 좋은 코인이며 특히 이들 코인의 기술력 및 미래 비젼등을 고려했을 때 이들 코인을 무시할 이유는 전혀 없다. (생존투자도 위의 코인중 최소 한개 이상에 투자해 과거 꽤 높은 수익을 얻기도 했으며 여전히 이들 코인의 미래가 꽤나 밝을 가능성도 높다고 본다) 문제는 가상화폐 산업을 바라보는 시장의 시선 그리고 작년에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로 인한 정부의 규제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데 있다. 작년 발생한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


<루나 코인 가격 폭락당시 모습>

작년 발생한 가상화폐 시장의 문제 그리고 그로 인한 투자 피해자들의 유형은 매우 다양했다. 일부는 디파이에 투자해 이자 수익을 보다가 루나 사태로 인해 큰 피해를 입기도 했고 다른 일부 사람들은 거래소가 자체 발행한 코인에 투자해 피해를 입기도 했다. 또 국내에서는 위메이드라는 게임회사에서 발행한 위믹스라는 코인에 투자했다가 갑자기 상폐가 발생하며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일련의 피해에 대해 투자자를 보호할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라는데 있다. 즉, 현재의 가상화폐 시장은 주식시장처럼 관련법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피해가 발생해도 소송을 진행하기도 힘들어 피해자들의 피해가 더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란 것이다. 바로 이런 이유로 현재 정부의 가상화폐 규제는 사회적 당위성을 얻었고 이로 인해 규제안 제정은 꽤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그 핵심에 '증권형 토큰'이 있다.



현재 규제안을 만들고 있는 금융당국은 규율체계 초안에서 향후 가상자산을 그 경제적 실질에 따라 증권형 토큰과 비증권형 토큰(유틸리티 토큰, 지급결제 토큰 등)으로 구분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가상화폐 중 증권형 토큰이라고 판단되는 코인들은 모두 자본시장법의 규제를 받게 되고 그 법안에서 발행과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규제'를 받게 된다. 즉, 일반 증권과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는 증권형 토큰은 향후 증권법 등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유가증권과 마찬가지로 당국 등록 등 '특정한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문제는 바로 여기서 발생한다. 앞서 언급한 증권법 및 증권형 토큰 거래에 필요한 당국의 특정한 절차를 거친 거래승인을 현재의 알트코인들이 과연 통과할거냐는 문제 말이다. 앞서 언급한 위믹스 코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



위믹스 코인이 상폐된 이유는 '유통량 미공시'에 있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유통량은 꽤나 중요한데 이는 유통량이 코인 가격을 결정짓는 아주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보통 시장에 유통량이 늘어나면 추가 공급이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수요가 늘지않을 경우 자연스레 가격은 떨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만약 발행사가 예고 없이 유통량을 늘렸고 이를 공시하지 않았다면, 그래서 기존 예상 유통량을 바탕으로 투자자가 코인을 사들였다면 모든 피해는 투자자들에게 몰리게 된다. 바로 이번 위믹스 상폐에는 이런 명확한 공시 없이 유통량을 증가시켰다는 점이 큰 이유가 된 것이다. 문제는 현재 가상화폐 거래소 내에는 위믹스 같은 코인들이 꽤나 많을 것이라는 데 있다.


위의 기사는 현재 지난달 11일 업비트의 일주일간 '상승률 상위 코인' 중 상위 5개 코인의 현 유통량은 모두 제공되지 않고 있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달 초까지 유명 알트코인인 '아크'(ARK), P2E(Play to Earn) 선두주자로 꼽히는 '엑시 인피니티'(AXS) 코인 등 많은 코인이 시가총액과 현재 유통량, 유통량 계획에 대해 제공한 바는 없었다. 다시 말하면 이들 알트코인 모두 상폐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을 토대로 이제 가상화폐 시장의 투자에 대해 좀 더 고민해보자.



생존투자는 지난 콘텐츠들 '2023년 경제전망, 과연 '상저하고'일까?', '부자들의 경기침체? 투자를 긍정적으로 바라보자'에서 언급했듯이 올 한해 큰 부침이 있을지라도 콘텐츠에서 언급한 이유들로 인해 전체적으로 투자를 긍정적으로 봐야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런데 이런 투자에 대한 뷰가 알트코인 투자에도 연결이 될까? 여기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기사하나 공유해보겠다.


작년 가상화폐 시총은 우리나라 코스피를 넘는 수준으로 전세계 자산시장중 10위권안에 드는 매우 큰 시장으로 발전했다. 이렇게 가상화폐 시장이 크게 성장하게 된 이유에는 기관의 투자가 큰 몫을 차지한다. 즉, 가상화폐 시장 성장에는 두개의 큰 축, 개인의 투자와 기관의 투자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 실제로 작년 캐나다 교사 연금,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일본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 미국 헤지펀드, 삼성 등 수많은 글로벌 기업과 정부 금융기관들이 가상화폐에 꽤 큰 금액을 투자했었다. 문제는 이들이 FTX나 루나같은 사태에서 자유롭지 못했으며 실제로 큰 손실을 봤다는데 있다. 그리고 그 핵심에 '제도권의 규제가 없는 가상화폐 시장'이 있다. 결국 규제가 없으니 정보가 왜곡 혹은 조작이 되고 바로 이런 이유로 이런 세계적인 기관들도 큰 손실을 입게 된 것이다. 안타깝지만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올해 가상화폐 시장 특히 알트코인에 투자는 매우 위험할 수도 있다. 종합해보자.


2022년의 문제로 인해 가상화폐 시장의 성장을 담당하는 한 축인 기관투자 수요는 크게 줄었다. 특히 이들에 문제가 된 것은 루나, 디파이 시장등과 연관이 있는 '알트코인'으로 이들에 대한 명확한 규제가 선행되지 않고선 이 기관들의 재투자를 바라는 것은 어불성설일 수 있다. 규제가 없는 현재로선 기관들의 대규모 투자가 작년처럼 일어나긴 매우 힘든 것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규제가 시행된 그 후이다. 알트코인에 대한 규제는 자격조건이 되지 않는 알트코인들의 상폐 원인이 된다. 즉, 기관의 투자를 위해 규제가 필요한데 이 규제가 시행되면 많은 알트코인들의 상폐가 발생한다는 것. 이런 이유로 여전히 가상화폐 시장은 부침이 클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고 특히 알트코인 시장에 매우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이유가 된다. 그래서 투자자라면 특히 중단기 투자자는 올해 알트코인 투자에 대해 매우 심사숙고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コメント


bottom of page